Loading [MathJax]/jax/output/CommonHTML/jax.js

수학/기초 통계학

[통계학] 19. 통계적 가설과 가설검정의 원리

AI 꿈나무 2020. 9. 23. 19:52
반응형

(k-mooc 통계학의 이해2, 여인권)을 수강하면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가설의 종류와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가설검정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겠습니다.

 


1. 가설검정 - testing hypothesis

 가설검정은 모집단의 모수 또는 분포에 대한 추측이나 주장을 설정하고 이것의 옳고 그름을 표본의 정보를 이용하여 확률적으로 판정하는 과정입니다.

 

2. 가설 - hypothesis

 가설은 모수 또는 분포(모집단)에 대한 추측이나 주장을 의미합니다.

 

(1) 귀무가설(Null hypothesis, H0)

 검정의 대상이 되는 가설입니다.

 

(2) 대립가설(Alternative hypothesis, H1)

 표본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이용해 입증하고자 하는 가설입니다.

 

3.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의 기본 형태

 단측검정(one-sided test) : 상황1과 2를 의미합니다.

 양측검정(two-sided test) : 상광 3을 의미합니다.

 동등성 검정(equivalence test)

 

 예시를 보겠습니다.

 

4. 가설검정의 원리

 명제가 참이면 대우도 항상 참인 것을 이용합니다.

 명제가 거짓이면 대우도 항상 거짓입니다.

 

 가설검정의 목적H1이 참임을 보이고자 하는 것 입니다.

 H1참을 보이기 위해서 H0이 참이면 비정상적인 표본을 증명해내는 방법을 이용합니다.

 이것이 대우를 이용한 것입니다.

 

 

5. 정리

 

반응형